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achine learning
- Hessian Matrix
- list
- pandas
- 강화학습
- 판다스
- optimization
- 모두를 위한 RL
- 김성훈 교수님
- 데이터 분석
- 논문
- 딥러닝
- Linear algebra
- 사이킷런
- 유니티
- ML-Agent
- David Silver
- paper
- statistics
- Jacobian Matrix
- neural network
- Python Programming
- unity
- 리스트
- Deep Learning
- rl
- reinforcement learning
- convex optimization
- Laplacian
- Series
목록Machine-Learning (18)
RL Researcher
1. Ensemble Learning이란 Ensemble : '조화'라는 사전적 의미를 지님 Ensemble Learning 여러개의 기본 모델을 활용하여 하나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 내는 개념입니다. 이때의 기본 모델(base model)을 weak learner, classifier, base learner, single learner라고 부릅니다. 다양한 learner를 만들면 전체의 모델의 성능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대수의 법칙 대수의 법칙(law of large numbers) 큰 모집단(population)에서 무작위로 뽑은 표본의 평균이 전체 모집단의 평균과 가까울 가능성이 높다는 통계와 확률 분야의 기본 개념입니다. 많은 시행(다수의 사람)의 결과가 수학적(이성적)으로 합리적인 결과..
1. 개념 인공지능(AI : Artificial Intelligence) : 기계가 사람의 행동을 모방하게 하는 기술로써 최상위 개념에 있습니다. 기계학습(ML : Machine Learning) : 기계가 일일이 코드로 명시하지 않은 동작을 데이터로부터 학습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연구분야이며, 인공지능 카테고리 내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딥러닝(DL : Deep Learning) : 기계학습의 한 분야인 인공 신경망에 기반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학습해 뛰어난 성능을 이끌어내는 연구 분야이며, 기계학습 카테고리 내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2. 딥 러닝과 머신러닝의 차이점 기본 머신러닝 모델은 그 기능이 점진적으로 향상이 되는데, 여전히 안내가 필요합니다. AI알고리즘이 부정확한 ..
1. train_test_split 모든 기계학습(Machine Learning,Deep Learning, Reinforcement Learning)에서는 학습 데이터(train data)와 테스트 데이터(test data)의 분리가 중요합니다. 학습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의 분리가 적절하게 이루지지 않은 경우에는 과적합(overfitting)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코드를 통해서 실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테스트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지 않고 학습 데이터 세트로만 학습하고 예측하게 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다양한 모듈 import from sklearn.datasets import load_iris from sklearn.tree import DecisionTreeClassifi..
1. 결정계수(R2) 결정계수(R2)는 회귀모형의 예측능력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결정계수는 추정한 선형 모형이 주어진 자료에 적합한 정도를 재는 척도입니다. 반응 변수(Y)의 분산 중에서 적합한 모형이 설명가능한 부분의 비율을 말합니다. $$R^{2} = \frac{SSR}{SST} = \frac{1- SSE}{SST}$$ 결정계수(R2)의 범위는 0 ~ 1 까지며 수식에서 보듯이 예측모형의 편차가 전체 데이터의 편차를 모두 대신할 수 있으면 결정계수(R2)가 1입니다. 즉 모형의 예측 정확도가 높아지면 결정계수가 1에 가까워진다는 의미입니다. ( 0에 가까울수록 설명력이 낮고, 1에 가까울수록 설명력이 높다.) 2. SST SST 는 Sum of Square Total로 편차의 제곱합입니다...